주식

[재테크#주식#상식#저평가]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14) - 고점대비 몇 % 떨어져야 바닥인가?

후발주자82 2023. 3. 13. 11:00

안녕하세요 후발주자 82 입니다  >=<

 

오늘은 고점대비 몇 % 떨어져야 바닥인가?  를 알 수 있는  팁을 알려 드리도록 할게요 ~

주린이들은 주식이 급락하면 두려워서 들어가지 못하고 관망만 하다가 바닥을 놓치는 경우가 많으실 거예요~

앞서 설명했던 이론다는 다르게 명확한 기준은 아니므로 바닥 매수시 참고정도 해주시면 될 거 같아요

 

일반적으로 주식은 고점대비 30% 정도 하락이 오면 1차 바닥일 가능성이 큽니다.

 

삼성전자로 예를 들어보면

2020년 코비드로 주식 급락이 나왔을 때, 최고점 대비 약 -32.6% 하락했다.

20/1/20 62,800원  --> 20/3/20 42,300원

 

 

그러나 코비드로 주식 급락 시 -30% 보다 더 반토막 난 주식 종목들도 있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저평가된 주식을 바닥에서 잡으로면 아래 3가지 항목을 명심해야 합니다.

 

1) 주가가 고점대비 -30% 떨어졌을 때 1차 분할로 매수 진행 (단, 잡주가 아닌 우량주식 이어야 함)

2) 그 이후에 -10% 씩 내려온다면 2차 분할 매수 진행 (물타기 = 평균단가 낮추기)

3) 그 이후에 -10% 또 내려온다면 3차 분할 매수 진행

 

  >> 분할 매수는 투자금액의  3차에 걸쳐서 진행하자 !!  (30%  / 30%  / 40%)

 

 

혹시 물리더라도 우량한 회사는 물타기를 하면서 평단가를 낮추고
기다리다 보면 결국 평단가 보다는 높게 되므로써  수익을 얻게 됩니다.




저 또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수익을 얻었습니다. 
2 ~ 3 번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수익을 맛보시게 되면 그 이후 부터는 기계적으로 바닥 매수 하시면 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