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25)- 미국 국채장단기 (10년물/2년물) 금리
안녕하세요 후발주자 82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10년물과 2년물의 국채장단기 금리차 그래프 보는 방법을 통해서
주식 폭락시 그 기회를 잡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주식 시장의 폭락 또는 급락의 징조는 다양한 지표들을 통해서 알 수 있지만
그 중 대표적인 지표는 미국의 10년물과 2년물 국채장잔기 금리차 그래프입니다.
1) Fred 홈페이지에 클릭!!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stlouisfed.org)
Federal Reserve Economic Data | FRED | St. Louis Fed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9,000 US and international time series from 110 sources. Welcome to FRED, your trusted source for economic data since 1991. Download, graph, and track 819,000 U
fred.stlouisfed.org
2) 10-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Minus 2-Year Treasury Constant Maturity 2 days ago 를 누릅니다.
3) 아래와 같이 화면이 나오고 빨간 네모박스안의 아이콘을 통하여 과거 지표까지 볼 수 있습니다.
Point. 10년물과 2년물의 장단기 금리차의 그래프가 "0" 에 수렴하고
다시 상승하려고 할 때 주식 폭락이 발생합니다.
1. 2000년 IT 버블사태 : 그래프가 바닥을 치고 내려간 후 다시 상승하려고 할 때 주식 폭락 발생됨
2. 2008년 금융위기 : 2006년 수평선까지 그래프가 내려왔다가 2007년 다시 올라가면서 2008년 전세계 금융위기가 발생
3. 2020년 코로나 팬데믹 : 그래프가 수평선 "0" 까지 내려갔다가 다시 상승을 하려고 할 때 주식 폭락 발생됨
20년 2월 코로나 팬데믹 때 싸게 매수할 기회가 왔었습니다.
20년 3월 ~ 22년 2월 까지는 "0" 수평선까지 내려오기까지에는 시간이 좀 있기에
이 시기에는 주식 시장이 더 올라갈 여지가 있었습니다. 하여 이 시기에는 우량한 회사에 투자를 했다면
본인의 금융자산을 많이 늘렸을 것입니다.
현재 23년 4월에는 수평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0" 에 수렴한다면 폭락이 올 것이라 예상할 수 있겠습니다.
주식에서 절대적인 것은 없습니다.
다만 지표를 보고 우리들이 어느정도 조심해야 되는 시기구나 !! 라고 예측은 가능하므로
가끔씩 FRED 홈페이지에 들어가 10년물과 2년물의 장단기 금리차 그래프를 보며 현재 시장의 흐름을
파악해보며 시장을 보는 안목을 기르시길 바랍니다.
요 지표만 이해한고 있다면 폭락 시기에 최소 본인의 자산을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