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5) - 정배열
안녕하세요 후발주자82 입니다.
주식을 막 시작한 주린이들도 정배열, 역배열이라는 단어를 한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정배열이란 "바를 정" 자로 배열이 바르다는 뜻입니다. 이 말은 주가가 우상향 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일단 정배열로 되어 있는 종목을 고르다면 일단 손실은 보지 않을거란 확률이 높겠지요? 그렇기 때문에 주린이들은 일단 정배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됩니다. 저 또한 이러한 과정들을 겪고 나니 지금은 조금씩 차트의 흐름들이 보이기 시작했답니다.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처럼 정배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주식 이평선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일반적으로 필자는 5개의 이평선을 사용합니다. 정해진 법칙은 없으니 본인의 스타일에 맞게 설정해도 된답니다.
참고적으로 필자는 신한투자증권 앱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증권사 앱도 비슷합니다.
1) 5일 이평선 : 5일간의 평균 주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낸 평균 값, 기간이 짧아 변동이 심하다.
2) 20일 이평선 : 20일간의 평균 주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낸 평균 값
3) 60일 이평선 : 60일간의 평균 주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낸 평균 값
4) 120일 이평선 : 120일간의 평균 주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낸 평균 값
5) 240일 이평선 : 240일간의 평균 주가를 하나의 선으로 나타낸 평균 값, 기간이 길어서 천천히 움직인다.
[이동 평균선 설정 방법]
이제 이동 평균선을 셋팅하는 방법을 익혔습니다.
정배열에 충족하는 차트 예시를 보면서 이해를 해보면, 요지는 "정배열 종목만 매매해도 내 계좌는 박살 나지 않는다."
5일선이 가장 위에 있다.
5일선 밑에 20일선이 있다.
20일선 밑에 60일선이 있다.
60일선 밑에 120일선이 있다.
120일선 밑에 240일선이 있다.
S&P 500 지수차트입니다.
5일선이 가끔 20일선까지 근접하면서 조정이 오기도 했지만 크게 보면 20일선 위에서 많이 분포되어 있다.
20일선 아래 60일선이 있고, 60일선 아래 120일선이 있고, 아래 240일선이 이쁘게 위치되어 있다.
이런 차트가 바로 정배열(우상향 차트)이다. 힘이 살아있어 계속 간다는 뜻이예요~~ Go Go !!!

간혹 5일선이 급하게 내려올 때가 있는데 이를 조정기간으로 부르는데요~ 이때를 매수의 기회로 보면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