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7) - 보조지표 "스토캐스틱"

후발주자82 2023. 2. 28. 16:18

안녕하세요 후발주자82 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 흐름을 확인할 때 보조지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보조지표 "스토캐스틱(Stochstics)" 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스토캐스틱(Stochstics) 란 무엇인가 ?

이론적으로 스토캐스틱(영어: stochastic)은 주식투자의 기술적 분석에 사용되는 보조 지표로, 공식 명칭은 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영어: stochastic oscillator)이다. 스토캐스틱 지표는 1950년대 William Dunnigun이 소개하고 George Lane이 널리 보급하였다. 스토캐스틱이 실전에서 잘 맞는다는 의미로 '마법의 지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 5일 최고가격이 100,000원이고 최저가가 50,000원인 주식종목이 있다고 가정할 때,

현재가가 90,000원 이라면 매수세가 강하여 오르는 추세임을 알 수 있고, 반대로 현재가가 60,000원 이라면 매도세가 강하여 내리는 추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N을 15로 하면, 스토캐스틱은 15일중 최고가와 최저가를 이용하는 값이 된다. 예를 들어 최근 15일 중 최고가가 100,000원이고 최저가가 50,000원이며 현재가격이 90,000원이라면, 스토캐스틱 값은 80%가 되며, 고가가 100,000원이고 저가가 50,000원이며 현재가격이 60,000원이라면, 스토캐스틱 값은 20%가 됩니다.

스토캐스틱 값의 범위는 항상 0~100% 사이가 되는데  100%라면 현재 가격이 N일간 최고가이므로 매수세가 가장 강한 경우가 되며, 0%라면 현재 가격이 N일간 최저가이므로 매도세가 가장 강한 경우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워요 ~

 

직관적으로 보면,

주가가 과열 구간에 들어서게 되면 조만간 하락할 것으로 반대로 주가가 침체 구간에 들어 서게 되면 조만간 반등할 걸로 예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속성을 지표화 한 것을 말합니다.

>> 즉  단기적인 과열권과 침체를 지표화 한 것 

 

실전 투자를 위한 보조지표인 스토캐스틱 앱 셋팅 방법을 알아 보도록 할게요 ~~ !!

저는 신한금융증권 사용하는 관계로 신한증권 앱으로 세팅법을 알려 드릴 텐데요 ~ 다른 증권 앱도 셋팅법은 비슷하니 아래 참고하시고 적용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1) 차트 상단의 오른쪽 설정을 누르고 Slow Stochastic을 선택해주고  ' > '  표시를 눌러주면 되고요~

2) 기간 설정은 10, 6, 6으로 설정해준다.  기본설정은 5, 3, 3 으로 되어있는데 기간 설정이 너무 짧아 지표가 민감하게 움직여 정확도가 떨어집니다. 추후에 자신에게 맞는 수치값으로 만들어 가도 무방 합니다. 본인 스타일로 ~~~ GO GO !!

그리고 나서 선의 색상과 굵기를 설정해준다. 중요한 것은 %K 입니다.  이것이 메인 그래프 기준이된다 잘 보이게 셋팅하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면 보조지표인 스토캐스틱 셋팅은 끝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