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8) - 보조지표 힘의 방향성 "ADX" 보는 법
안녕하세요 후발주자 82 입니다.
오늘은 보조지표인 " ADX " 이론과 앱 설정하고 보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하고자 합니다.
보조지표인 ADX 는 주가가 상승과 하락을 보는 것이 아니라 오직 추세(힘의 방향성)만을 보는 지표입니다.
ADX 값이 10% 미만인 경우, 현재 추세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향후 추세가 일어나기 위한 준비를 하기위한 구간이며, 이때에는 매수는 하면 안되는 시기입니다.
20 ~ 40% 구간에서는 추세가 이미 진행 되고 있는 시기의 구간이며,
40% 이상을 넘어가는 구간은 추세의 절정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사실상 이때 매수 또는 매도 타이밍을 결정하는 시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ADX 지표는 크게 4가지 패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1. 이제부터 상승하려는 힘이 강해짐
2. 상승하려는 힘이 꺽어져 이제 하락 예정
3. 이제부터 하락하는 힘이 강해짐
4. 하락하는 힘이 약해지고 다시 상승하는 힘이 강해짐
미국 주식 TSLA 차트를 보면서 앱 차트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신한증권 앱)
화면 하단을 보면 녹색선과 빨간선이 교차하며 반복되는 것이 보이는데요~!! 이것이 ADX 지표입니다.
차트 우측 상단 설정 누른 후 ADX 를 선택하고 " > "를 눌러줍니다.
조건 설정값은 아래와 같이 설정합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부분은
ADX 녹색 = 상승하는 힘
ADX_PDI = 무시
ADX_NDI = 하락하는 힘
다음으로 하단 지표에서 DMI 를 선택한다.
지표 설정조건은 14로 설정한다.
Up DI = 상승하는 힘
Down DI = 하락하는 힘
이로써 앱 지표 설정값 세팅은 끝났으며 활용법에 대해서 보도록 하겠습니다.
ADX 지표값을 잘 살펴보면
녹색선이 빨간선을 뚫고 올라가는 시점이 바로 단기 상승하는 시점이다.
반대로 빨간선이 녹색선을 뚫고 내려가는 시점이 바로 하락하는 시점이다.
- > 두 라인이 거리차가 멀어질수록 상승하려는 힘이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막 녹색선이 빨간선을 뚫고 올라탔을 때 우리는 "골든크로스" 라 부른다. 이때가 상승초입의 타이밍으로 보면 됩니다.
여기까지 보조지표 "ADX" 에 대해 설명해 보았는데요~!!
물론 보조지표라는 것이 항상 맞을 수는 없기 때문에,
본인이 가지고 있는 종목에 대입해 보기도 하고 또 다르게 적용되는지도 확인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