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주식 일반 상식

주식투자 거장 버핏 지표 - 윌셔(wilshire) GDP ?

후발주자82 2023. 5. 19. 09:06

안녕하세요  후발주자82입니다.

 

오늘은 시장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인 윌셔 GDP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윌셔 GDP는 가격이 잘못 형성되었을 때 그것을 알아차리는 방법으로서 이것을 잘만 활용하면 시장 가격 형성과 관련해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급등하는데 나만 혼자 뒤처진 것 같을 때 버핏 지표를 주시한다면 우리가 경기 주기의 어디쯤에 있는지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버핏은 시장 전체와 국가 총수입의 비율을 가리켜

"특정 시점에 시장의 고평가 혹은 저평가 여부를 판단하는 최고이자 유일한 척도일 것" 이라고 했습니다.

그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가 바로  "윌셔 GDP" 가 입니다.

미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윌셔5000 전체 종목의 시가총액지수(wilshire 5000 total Market Full Cap Index) 비율 입니다.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은 미국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종목 대부분으로 구성된 윌셔 5000지수의 시가총액(지수

전체의 가치)을 미국 국내 총생산(미국 기업이 창출한 총수입)으로 나누어 윌셔 GDP를 산출합니다.

보는 방법은 쉬워요 ~~ !! ^^

 

**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이 집계하는 지표로 fred.stlouisfed.org  확인 가능함

 

윌셔 GDP가 60% 수준이면 전반적으로 시장 가격이 실제 가치에 비해 낮다는 의미이고

100% 넘으면 시장이 고평가 상태라는 뜻입니다.

다시말해 국가의 실제재화 및 용역 생산과 비교한 시장 가격이 불균형적으로 비싸다면 시장이 깊은 

침제(즉 인플레이션)에 빠질 위험에 대비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면 윌셔 GDP는 2000년 100% 넘었었고 그 후 시장은 폭락했으며, 2008년에도 100% 초과 했고 시장은 

다시 폭락했습니다. 그리고 2017년 3분기에는 155%까지 치솟았습니다. (올랐다가 떨어졌다가 반복되고 있지요 ~!)

-> 주식은 폭락으로 공포일 때 사야하고 고점일 때 팔아야 한다라는 말이 여기에 적용됩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 수준에서 주가는 미국 기업이 창출하는 실제 수입과의 역사적 관계에서 완전히 벗어났으므로 이런 상태가 영원이 지속

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23년5월 기준으로 보았을 때 윌셔 GDP가 200% 치솟은 상태로 즉 현재 시장은 고점에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과거 데이터를 통하여 조만간 시장은 조만간 급락하게  될 것이라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현재 미국주식 시장이 상승하고 있으나 현혹되지 말고

윌셔 GDP 지표를 통하여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지금 현금을 모아가고 비축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 기준만 지키신다면 투자한 돈을 잃지는 않고 수익이 발생할 수 있으실 겁니다.

 

경제적 독립을 위한 그 날까지 다같이 화이팅 !!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