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후발주자 82 입니다.
오늘은 보조지표인 "볼린저 밴드(Bollinger Bands)"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볼린저 밴드란? (구글 정의)
1980년대 존 볼린저가 개발하고 2011년 상표권 취득한 주가 기술적 분석 도구이다. 트레이딩 밴드 개념에서 발전된 볼린저 밴드와 상대지표 그리고 대역폭은 이전 거래와의 상대적 가격의 높음과 낮음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볼린저 밴드는 켈트너 채널과 비슷한 변동성 지표이다. 볼린저 밴드는 주가가 이동평균선 중심으로 표준편차 범위 안에서 움직인다는 전제로 개발되었습니다.
볼린저 밴드의 상단에 가까워 질수록 주가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고, 반대로 볼린저 밴드의 하단에 가까워질수록 주가가 다시금 상승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볼린저 밴드는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됩니다.
* N 기간 동안의 이동평균 (MA)
* 이동평균 위의 K배 표준편차 상위 밴드
* 이동평균 아래의 K배 표준편차 하위 밴드
볼린저 밴드는 힘의 방향성에 대한 지표입니다.
선을 기준으로 상승 또는 하락하려는 힘의 초입 인지를 알 수 있고 하락에 대한 조짐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과거 추세선의 흐름을 보며 어느정도 예측이 가능합니다.
많이 참조하는 부분이 바로 추세에 대한 부분인데요~~상승과 하락이 있는 볼린저 밴드에서 상단에 같다가 뚫지 못하고 다시 하단까지 가서 반등하는 차트들도 많이 보이기 때문에 본인이 투자하는 종목에 대입해 보면서 공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 종목을 자세히 보면 볼린저 밴드 하단을 걸치면서 우하향 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떨어지기 직전의 볼린저 밴드 상하단의 폭이 벌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즉, 이제부터 추세가 우하향 하겠으며, 주가가 내려가는 힘의 강도가 점점 강해지고 있구나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볼린저 밴드 상단을 걸치면서 우상향하게 되면 이제부터 추세가 우상향 하겠으며, 주가가 올라가는 힘의 강도가 점점 강해지고 있구나로 해석하면 됩니다.
-> TSLA 차트 경우 볼린저 밴드 하단까지 갔다가 반등하는 흐름을 볼 수 있다.
이번에는 볼린저 지표를 세팅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앱은 신한증권)
지표설정에서 볼린저 밴드를 선택합니다.
수치는 기본값 (20, 2) 이며, 색상과 굵기를 설정합니다.
볼린저 중간선은 안봐도 됩니다.
이상으로 볼린저 밴드의 우상향, 우하향 패턴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아무리 좋은 기술적 차트 분석이 있더라도 복기를 안하면 본인 것이 안됩니다.
본인이 투자한 종목에 해당 내용들을 대입해보고 주가의 흐름을 끊임없이 적용해 보면 자신도 모르게 고수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11) - 엘리엇 파동 이란 ? (0) | 2023.03.09 |
---|---|
[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10) - 데드 크로스/빅데드 (0) | 2023.03.08 |
[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8) - 보조지표 힘의 방향성 "ADX" 보는 법 (0) | 2023.03.06 |
[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7) - 보조지표 "스토캐스틱" (0) | 2023.02.28 |
[재테크#주식#상식] 주린이들의 알아야하는 기초지식(6) - 역배열 (0) | 2023.02.27 |